조하식(チョ·ハシク) 수필가·시조시인, Ph.D. 조하식(チョ·ハシク) 수필가·시조시인, Ph.D.
이름도 생소한 아제르바이잔(Azerbaijan: 1천여만, 86,600㎢, 8천달러)은 서남아시아에 속한 국가로 이른바 코카서스(Caucasus, 흑해와 카스피해 사이)로 불리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30달러의 비밀을 품고 도착한 미지의 나라는 한눈에 과거의 명성에 보답하려는 듯. 마치 용의 트림처럼 솟아오른 타원형의 아로브 타워(일명 불꽃놀이 빌딩)나 자칭이지만 정복 불가능한 성역의 의미로 명명한 메이든 타워를 마주한다면 그 절절한 심정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안타깝게도 초소형 미니북 박물관이자 흘러간 제왕의 청동상은 있어도 빈약한 보관 자료를 놓고 메이든 타워와 함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한 구시가지 슐방샤 궁전의 고전미까지 가볍게 여기는 것은 자칫 편견이거나 단견일 수 있습니다.
지상에 다양한 중세문화재를 그대로 보관할 수 있는 소양과 낡은 가게를 영업 중 명소로 개방한 당국의 조치를 통해 개념 있는 행정적 체계를 확인한 것. 다만 헤이다르 알리예프 센터처럼 부담 없이 동대문디자인센터를 떠올리거나 어설프게 시드니의 오페라하우스를 본뜬 표절작품은 볼썽사나운 꼴이 아닐 수 없습니다.
스탈린의 흔적이 남는 자유광장을 거쳐 정부청사가 모여 있는 아제르바이잔의 과거 속 현재는 옛 영화의 궤적을 추적하면 얼마나 숨은 그림이 나타나기 마련. 바쿠(약 240만 명 거주)라는 무거운 중심지와 흙먼지가 흩날리는 외곽지의 현 주소가 바로 그것. 필자의 경우 다소 번잡한 시가지에 들어서자마자 이곳은 최대한 웅장한 규모의 건축물을 지향한다는 인상이 강했습니다.
뜻대로 되지 않아 유러피언 게임의 주경기장으로 사용했던 올림픽스타디움(7만여 명 수용,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설계)을 비롯해 아제르바이잔의 랜드마크로 매일 밤 화려한 조명쇼를 선보이는 곡선형 프레임타워는 꽤 유명하다지만 과거 완료와 현재 진행형이 뒤섞인 도심을 벗어나면 곳곳에서 작업 중인 유전을 만나게 되는 것. 메마른 대지를 보면 그래도 원유가 매장되어 있기 때문에 다행스러운 국면이랄까, 단순히 사막이나 황야보다는 조금 낫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창밖이 계속 뿌옇게 보이는 것은 하얀 대기질 때문이지만, 문제는 기찬을 통해 발견한 카스피해의 기름띠였습니다.
자꾸 석유를 캐내면서도 뒷수습이 부실해 내륙에 갇힌 호수로 흘러들어갔기 때문. 이름도 생소한 아제르바이잔(Azerbaijan: 1천여만, 86,600㎢, 8천달러)은 서남아시아에 속한 국가로 이른바 코카서스(Caucasus, 흑해와 카스피해 사이)로 불리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30달러의 비밀을 품고 도착한 미지의 나라는 한눈에 과거의 명성에 보답하려는 듯. 마치 용의 트림처럼 솟아오른 타원형의 아로브 타워(일명 불꽃놀이 빌딩)나 자칭이지만 정복 불가능한 성역의 의미로 명명한 메이든 타워를 마주한다면 그 절절한 심정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안타깝게도 초소형 미니북 박물관이자 흘러간 제왕의 청동상은 있어도 빈약한 보관 자료를 놓고 메이든 타워와 함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한 구시가지 슐방샤 궁전의 고전미까지 가볍게 여기는 것은 자칫 편견이거나 단견일 수 있습니다.
지상에 다양한 중세문화재를 그대로 보관할 수 있는 소양과 낡은 가게를 영업 중 명소로 개방한 당국의 조치를 통해 개념 있는 행정적 체계를 확인한 것. 다만 헤이다르 알리예프 센터처럼 부담 없이 동대문디자인센터를 떠올리거나 어설프게 시드니의 오페라하우스를 본뜬 표절작품은 볼썽사나운 꼴이 아닐 수 없습니다.
스탈린의 흔적이 남는 자유광장을 거쳐 정부청사가 모여 있는 아제르바이잔의 과거 속 현재는 옛 영화의 궤적을 추적하면 얼마나 숨은 그림이 나타나기 마련. 바쿠(약 240만 명 거주)라는 무거운 중심지와 흙먼지가 흩날리는 외곽지의 현 주소가 바로 그것. 필자의 경우 다소 번잡한 시가지에 들어서자마자 이곳은 최대한 웅장한 규모의 건축물을 지향한다는 인상이 강했습니다.
뜻대로 되지 않아 유러피언 게임의 주경기장으로 사용했던 올림픽스타디움(7만여 명 수용,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설계)을 비롯해 아제르바이잔의 랜드마크로 매일 밤 화려한 조명쇼를 선보이는 곡선형 프레임타워는 꽤 유명하다지만 과거 완료와 현재 진행형이 뒤섞인 도심을 벗어나면 곳곳에서 작업 중인 유전을 만나게 되는 것. 메마른 대지를 보면 그래도 원유가 매장되어 있기 때문에 다행스러운 국면이랄까, 단순히 사막이나 황야보다는 조금 낫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창밖이 계속 뿌옇게 보이는 것은 하얀 대기질 때문이지만, 문제는 기찬을 통해 발견한 카스피해의 기름띠였습니다.
자꾸 석유를 캐내면서도 뒷수습이 부실해 내륙에 갇힌 호수로 흘러들어갔기 때문.
▲ 아제르바이잔 수도 바쿠의 위용 ▲ 아제르바이잔 수도 바쿠의 위용